체리피킹(본인에게 유리한 것만 고르는 현상) 현상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카드를 여러 개 쓰고, 혜택이 좋은 카드를 찾아다닙니다. 혜택을 잘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제일을 잘 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제일에 청구되는 금액과 전월에 사용한 금액이 다를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드 결제 금액 ≠전월실적
카드를 발급받은 후 결제일을 정할 때 무턱대고 월급날에 맞추어 25일 또는 1일에 맞추는 것은 전월실적과 같이 비교할 때 불편합니다. 저도 처음 신용 카드를 발급받고 나서 실적을 잘 채워야 했었는데 결제금액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서 처음에 몇 번은 실적을 제대로 채우지 못해 혜택을 못 받았습니다.
전월실적이란 전월 1일부터 말일까지 사용한 금액을 뜻합니다. 하지만 결제일을 1일로 설정해두는 경우 결제청구금액의 경우 전전월 18일부터 전월 17일까지입니다. 다음 그림을 참고하시면 이해하시기 편할 것 같습니다.
저도 최근까지 1일로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실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카드이용실적충족현황(신한카드)에 들어가서 늘 실적을 카드별로 확인했었어야 했습니다. 밑에는 제가 사용하는 신한카드 실적 확인 예시입니다.
위처럼 실적은 5월 1일부터 말일까지이고, 사용한 금액은 4월 18일부터 5월 17일까지 청구되게 된다면 납부해야할 금액(쓴 금액) 한 번 체크, 실적 충족 체크 이렇게 번거롭게 2번씩 체크해야 합니다. 따라서 카드 혜택을 최대한 누리기 위해 전월실적을 한 번에 체크하고 싶다면 결제일에 청구되는 금액이 전월실적이 될 수 있도록 결제일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제일을 14일로 설정했을 경우
물론 카드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결제일을 1일에서 14일로 변경했을 경우 이용기간은 기존 전전월 18일에서 전월 17일었던게 전월 1일에서 전월 말일까지로 변경되게 됩니다. 😁
보기 쉽게 다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다음달 6월 1일에 결제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결제일이 6월 1일인 경우: 4월 18일부터 5월 17일까지 이용 금액
✅ 결제일이 6월 14일인 경우: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이용 금액
이렇게 되면 전달에 쓴 금액이 다음달 14일에 청구되는 것이므로 조금 덜 헷갈립니다. 또한, 실적금액과 동일해서 헷갈리지도 않습니다.
📌 주의
* 카드결제를 해당 이용기간에 했다고 해서 무조건 돌아오는 결제일에 청구되는 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카드 결제를 하면 카드사에서 승인을 하고 매출전표를 접수해야 하는데, 만약 전표 접수가 늦게 됐다면 다다음 결제일에 청구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해외결제건의 경우 매출전표 승인(매입)이 늦어지게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 일시불/할부 거래에 대한 이용기간과 현금서비스의 이용기간은 다릅니다.
* 당월 카드 이용대금명세서(청구서)는 보통 결제일 7일~10일 전부터 조회가 가능합니다.
카드사별 추천 결제일
마지막으로 카드사별 추천 결제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드 | 결제일 | 일시불/할부 이용기간 |
KB 국민카드 | 14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신한카드 | 14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삼성카드 | 13일, 14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롯데카드 | 14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현대카드 | 12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우리카드 | 14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하나카드 | 13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NH농협카드 | 14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BC바로카드 | 13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IBK 기업은행 | 15일 | 전월 1일 ~ 전월 말일 |
저도 이전까지는 그냥 아무생각 없이 결제일을 모두 1일로 설정해 놨었습니다. 하지만 매번 실적과 전월 이용 금액을 비교하기 번거로웠는데 앞으로 이렇게 설정해 두면 헷갈릴 일이 없어서 좋을 것 같습니다. 카드사에서 정해준 결제일로 해놓으셨거나 아무 생각 없이 월급일을 결제일로 설정해 놓으셨던 분들은 한 번씩 체크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아직도 가입 안했나요? (0) | 2023.05.07 |
---|---|
청년도약계좌 미리 알아보기(23년 6월 출시) (2) | 2023.05.04 |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에 대해 알아보고 신청하기 (0) | 2023.05.01 |
전세사기의 유형과 예방대책 알아보기 (0) | 2023.04.29 |
LH 행복주택 입주자격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