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Individual Saving Account) 계좌에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ISA 계좌는 개인이 투자 수익을 세금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계좌입니다. 이 ISA 계좌는 쉽게 말해서 비과세 혜택을 주는 모음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적금은 은행에서 그리고 주식이나 eft 채권은 증권사에서 각각 관리를 했었다면 이 ISA 계좌에서는 한 개의 통장에서 관리하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SA 계좌의 특징과 장점, 그리고 유형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mk.co.kr/news/stock/10705231
“아직도 안 만들었어?”...청년들 몰려갔다는 통장 뭐길래 - 매일경제
절세혜택 누릴수 있는 ISA 투자 중개형 점유율 선두 삼성證 “신규가입 42% 청년”
www.mk.co.kr
📌 ISA 통장이 만들어지게 된 계기
ISA 계좌는 저금리, 저성장 시대에 종합적인 관리를 해당 계좌에서 하라는 의도로 만들어진 금융상품입니다. 한 계좌에서 주식도 하고 채권도 하고 수익이 나면 세금도 남들보다 적게 내도록 해서 자산을 빨리 불릴 수 있게 만들어주겠다는 것이 ISA 계좌를 정부에서 만든 이유입니다. 따라서 ISA 계좌의 키워드는 "절세" + "다양한 금융 상품 가입 가능" 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ISA 계좌의 특징
✨ 3년간 종합소득 과세자가 아니면 이자 배당소득에 대해서200만원까지 비과세입니다.
✨ 200만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기존 15.4% 가 아닌9.9%로 저율 과세
계좌를 해지하거나 현금화할 때에만 세금이 부과되며, 운용방식은 일반증권계좌랑 비슷하나 세금혜택이 큰 점이 장점입니다.
국민 자산 형성 및 절세 혜택을 위해 도입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시장에서 2030 세대들을 중심으로 은행에서 증권사로 옮겨가고 있다. 지난 2021년 초 투자자들이 직접 주식,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투자할 수 있는 투자중개형 ISA가 출시된 후 2년 만에 2030 세대의 가입금액이 기존 신탁형·일임형을 누르고 시장 점유율 선두에 올랐다. 증권사에는 투자중개형을 은행에선 신탁형을 가입한다. 일임형의 비중은 높지 않다. 증권업계에선 투자 관심도가 높아진 청년층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보고 있다.
신탁형은 뭐고 일임형은 뭔가요? 둘 다 맞기는 거 아닌가요?
💡ISA는 크게 투자방식(중개형/신탁형/일임형) 과 가입자(일반형/서민형)로 구분됩니다
중개형 | 신탁형 | 일임형 | |
투자방식 | 투자자 직접 운용 | 투자자 운용 지시 | 은행/증권/보험사가 운용 |
보수 | 투자 상품별 수수료가 상이함 | 투자 상품별 수수료 + 신탁보수 | 투자 상품별 수수료 + 일임 수수료 |
투자대상 | 공통: 편드, ETF, 리츠, ELS, DLS 등 | ||
국내상장주식 | 예적금 |
즉, 중개형은 직접 운용, 신탁형의 경우 운용을 지시, 일임형은 아예 맡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반 주식계좌처럼 운용하시려면 중개형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입자에 따라서도 구분됩니다.
일반형 | 서민형 | |
가입대상 | 19세 이상 국내 거주자 혹은 단, 15세 이상 19세 미만인 경우 직전 연도 근로소득이 있었던 국내 거주자 | |
소득범위 | - | 근로소득 5천만원 이하 혹은 종합소득 3천 800만원 이하 |
비과세 범위 | 200만원까지 비과세 | 400만원까지 비과세 |
💰 절세 혜택이 넘사벽
✅ 연봉 5천만원 이하
✅ 최소 3년 정도는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서 계좌를 묶어놔도 괜찮다
-> 이런 분들은 만드시는 게 유리할 것 같습니다!
일단 위에서 말씀 드렸던 대로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고, 실제 내가 번만큼 세금을 떼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상황 1 ) 3년 동안 a 상품에서 400만 원에 대한 이자소득 발생
일반 계좌의 경우
-> 400만원에 대해 15.4%의 이자소득세를 떼갑니다. -> 616,000 원 세금 지출
ISA 계좌의 경우
-> 일반형인 경우 200만원에 대해 비과세 + 나머지 200만 원에 대해 9.9% 저율과세 -> 198,000원 세금 지출
-> 서민형의 경우 400만원까지 비과세 -> 세금 0원
상황 2) 국내 주식에서 600만 원 수익을 내고, 펀드에서 300만 원 손실을 본 경우
일반 계좌의 경우
-> 일반 계좌에서는 600만원에 대해 15.4% 의 이자소득세를 떼갑니다-> 924,000원 세금 지출
ISA 계좌의 경우
결국 총 수익은 300만 원 이기 때문에
-> 일반형인 경우 200만원에 대해 비과세 + 나머지 100만 원에 대해 9.9% 저율 과세 > 99,000원 세금 지출
-> 서민형의 경우 비과세 -> 세금 0원
➕ 또 다른 장점
당장 돈이 없어도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ISA 계좌는 투자금 납입 한도를 이월할 수 있습니다. 제가 지금 계좌를 일단 만들었는데 돈이 없어서 안 넣고 3년 차 때 한 번에 6천만 원을 넣어도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가입하고 매년 2000만 원씩 넣을 수 있지만 가입하고 한 푼도 안 넣었다고 한꺼번에 3년 차 때 6천만 원 5년 차에 1억을 넣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종합소득세와 합산과세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원이 넘으면 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과 합산해서 세금이 부과됩니다. 특히 우리나라 소득세는 누진세율이라서 소득이 높아질수록 세율도 높아지게 됩니다. 근데 정부에서 ISA 계좌에서 발생한 이자만큼은 분리과세 하겠다는 얘기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제가 연봉 4000만원을 받는 직장인인데 주식을 한 해 동안 2000만 원을 벌었다고 하면 원래대로라면 제 소득은 6000만 원이 되고 이 6000만 원에 대한 소득세를 매기게 됩니다.
하지만 2000만원이 ISA 계좌에서 얻은 거라면
내 근로소득 4000만원 + 이자소득 2000만 원 이렇게 구분해서 세금을 떼이게 됩니다.
오늘은 ISA 계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예전에 비해 인기가 조금 시들해진 것 같습니다만 혜택을 정리해 보니 잘 사용하면 많은 혜택을 볼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저도 이번 기회에 제가 예전에 가입해 뒀던 ISA 계좌를 점검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 결제금액과 실적이 헷갈릴 경우 확인해보기(카드사별 추천 결제일) | LIM (0) | 2023.05.08 |
---|---|
청년도약계좌 미리 알아보기(23년 6월 출시) (2) | 2023.05.04 |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에 대해 알아보고 신청하기 (0) | 2023.05.01 |
전세사기의 유형과 예방대책 알아보기 (0) | 2023.04.29 |
LH 행복주택 입주자격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3.04.26 |